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우리 몸을 지켜주는 면역세포 백혈구!!! / 종류와 역할, 비율

by 이겨내요 2023. 3. 13.

우리 몸속에는 백혈구라는 세포들이 있는데, 백혈구는 몸속에 칩입하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물리치고, 매일 몸속에서 생겨나는 암세포를 물리치고, 그 외에도 통증세포, 염증세포를 물리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백혈구는 혈액과 림프계를 포한한 신체 전반에 걸쳐서 존재합니다. 백혈구는 조혈모세포로부터 만들어집니다. 백혈구의 종류는 세포과립 존재유무에 따라 과립성 백혈구와 무과립성 백혈구로 나뉩니다. 과립성 백혈구에는 호산구, 호혐기구, 호중구가 있고 무과립성 백혈구에는 림프구와 단핵구가 있습니다. 

  • 세포과립 : 뇌안에서 과립세포로 불리는 세포는 소뇌피질과 대뇌피질에 존재합니다.
  • 소뇌피질 : 소뇌 표면을 둘러싼 회백질을 말합니다.
  • 대뇌피질 : 대뇌반구의 표면을 덮는 회백질을 말합니다.
  • 호중구의 비율은 62%이며 세균과 균류, 곰팡이류로 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수명은 6시간에서 수일입니다.
  • 호산구는 크기가 큰 기생충이나 알레르기에 대한 염증반응을 조절합니다. 비율은 2.3%이고 수명은 8-12일 정도입니다.
  • 호염기구는 염증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히스타민을 방출합니다. 비율은 0.4%이고 수명은 수시간에서 수일이다.
  • 염증반응이란? : 상처가 난 곳이 열나고 붉게 되고 부어오르며 통증을 느끼게 되는 반응이다.
  • 히스타민이란? : 외부자극(스트레스)에 대하여 신체가 빠른 방어 행위를 하기 위하여 분비하는 유기물질 중 하나이다.
  • 림프구는 B세포와 T세포, 자연 살해 세포로 구성됩니다. 비율은 30%이고 수명은 수주에서 수년(기억세포의 경우)이다.
  • B세포는 항체를 분비하여 T세포의 활성을 보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 T세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와 종양 세포로 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감염 이전의 면역계의 정상상태로 복구하는 역할을 합니다.
  • 자연 살해 세포는 바이러스 감염된 세포 및 종양 세포로 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 단핵구는 혈액으로부터 다른 조직으로 이동하여 조직에 상주하는 대식세포로 분화한다. 비율은 5.3%이고 수시간에서 수일입니다.

림프구

림프구는 혈액 내 보다는 림프계에 더 많이 존재하는 백혈구입니다. 림프구는 기능에 따라 B세포, T세포, NK세포로 나뉩니다. 

  • B림프구는 병원체에 반응하여 항체를 생성합니다. 이 항체는 병원체에 결합하여 병원체의 침입을 막고, 보호체계를 활성화하여 병원체를 파괴하는 반응을 증폭시킵니다.
  • T 림프구는 크게 CD4+보조 T세포, CD8+세포독성 T세포, gd T세포, NK세포로 구성됩니다.
  • CD4+보조 T세포는 사이토카인을 분비하고 이를 통하여 면역 반응의 전반적인 조화를 돕는 기능을 합니다.
  • 사이토카인이란? : 혈액 속에 함유되어 있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면역 단백질 중 하나입니다. (세포 신호 역할)
  • CD8+세포독성 T세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에 직접 작용합니다.
  • gd T세포는 혈액에 주로 존재하며 조절 T 세포와 세포독성 T세포, NK세포의 특성을 함께 가지고 있습니다.
  • NK세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가 내는 특정 신호를 감지하여 종양세포들을 직접 죽이는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결국 암세포를 감사하고 파괴하는 등의 직접적인 작용을 하는 세포는 림프구 중에 CD8+세포독성 T세포와 NK세포입니다. 림프구에게 보내는 부탁의 메시지입니다. " T세포야, NK세포야, 오늘도 종양을 부탁할께, 너희를 믿어, 정말 고마워 " 이렇게 매일 아침, 점심, 저녁으로 3번 이상 양손을 머리에 대고 천천히 말합니다. 그리고 깊게 심호흡하며 뇌 속에 산소를 공급합니다. (아침명상 5분 이상) 

댓글